매월 100만 원 배당금 받기
배당금이란?
배당금은 주식 소유자에게 주는 회사의 이익 분배금입니다. 이 배당금을 월 100만 원을 받으려면 얼마나 투자해야 될까요?
얼마나 투자해야 월 100만 원 배당금을 받을까?
코카콜라
코카콜라 배당금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코카콜라 배당금을 60년 넘게 꾸준히 늘려온 회사로 코카콜라 제로 슈거 판매량이 모든 시장에서 14%나 증가하면서 성장세를 타고 있습니다.
코카콜라는 음료시장에서 입지가 굳건한 기업으로 탄산음료 외 생수, 커피, 스포츠음료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 제품 | |
탄산음료 | 코카콜라, 코카콜라 제로, 스프라이트, 환타 |
생수 및 스포츠음료 | 스마트워터, 파워에이드 등 |
주스 및 유제품 | 아데스, 미닛메이드, 심플리 |
코카콜라 배당
현재 코카콜라 주가는 1주당 69.47 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코카콜라 1주당 2.04 달러에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연 배당수익률은 2.9%입니다. 배당 수익률 자체는 놓지 않지만, 63년 연속 배당금을 올려왔습니다.
배당금 지급은 1년에 4번, 분기별로 배당금 지급(3월, 6월, 9월, 11월)됩니다.
코카콜라 배당금 | |
1주당 배당금 | 2.04 달러 |
연 배당수익률 | 2.9% |
배당금 지금(1년 4번) | 3월,6월,9월,11월 |
월 100만 원 배당금 코카콜라 투자금은 얼마?
배당소득: 약 15% 세금
100 / (1-0.15) = 118만 원이 필요
118*12(개월) = 1416만 원(연)
배당수익률: 2.9%
14160000 / 0.029= 대략 4억 8827만 원 투자금 필요
ETF(EXchange Traded Fund) 투자
생각보다 많은 투자금이 들어갑니다. 초보자가 어떤 주식을 사서 얼마나 투자해야 될지 어렵습니다.
이렇게 주식을 직접 매수해서 하는 것이 어렵다면 연금저축계좌를 통한 ETF 투자로 시작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ETF는 주식을 낱개로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묶음형식으로 구성된 주식 ETF를 구매하는 것입니다.
물론, 주식처럼 ETF도 분배금이 있습니다.
(ETF의 배당금)
ETF 란?
ETF(Exchange Traded Fund)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를 주식시장에 상장하여 주식처럼 거래하는 상품입니다.
ETF 장/단점
국내 ETF, 해외 ETF가 있지만 너무 광범위해지기 때문에 해외 ETF를 매수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의 장점
1. 개별 주식보다 적은 변동성
2. 다양한 상품에 대한 접근성
3. 손실폭을 줄여주고 분산 투자를 자동으로 해줌
(펀드이기 때문에 여러 주식을 동시에 투자)
4. 보유기준에 맞게 3개월~ 1년 단위로 종목이 정기적으로 교체됨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의 단점
1. 거래 수수료가 발생
(수수료가 많지는 않음)
2. 거래량 자체가 적기 때문에 원하는 가격에 거래가 어려움
*ETF 투자팁: 운용규모가 크고 거래량이 많은 종목을 선택
3. 주식 투자 수익률이 높지 않음
어떤 ETF를 구매해야 될까?
주식처럼 어떤 ETF에 투자해야 될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ETF의 투자팁으로 운용규모가 크고 거래량이 많은 종목인 S&P500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ETF S&P 500
S&P 500이란?
미국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가 개발한 미국의 주가지수. 미국 500대 대기업의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준으로 함.
S&P500를 검색해 보면 TIGER 미국 S&P500, ACE 미국 S&P500, RISE 미국 S&P500 등 다양한 S&P 500이 나옵니다. 투자를 하려면 우선 ETF이름을 해석할 줄 알아야 합니다.
ETF이름 뜻
브랜드 명 | 투자하는 국가명 | 어디에 투자 | 지수명 | ||||||
Kodex | TIGER | ACE | TIGER | KODEX | ACE | TIGER 미국AI빅테크10 | 나스닥, 배당다우존스 |
||
삼성 자산운용 |
미래에셋 자산운용 |
한국투자 신탁운용 |
미국 | 한국 | 중국 |
*각 운용사마다 운용수수료가 상이합니다.
*똑같은 ETF라면 비용이 저렴한 것을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지수: 지수가 다르면 투자하는 종목과 비율이 달라짐
TIGER 미국 S&P500일 경우,
TIGER(미래에셋 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미국(투자하는 국가) S&P(지수명)입니다.
<ETF관련 비용>
- 총 보수: 자산운용사에서 가져가는 보수
- 기타 비용: '기초 지수'에 대한 사용료 등 (TER - 총 보수 = 기타 비용)
- 매매 중개 수수료율: 펀드매니저가 ETF의 보유 종목을 사고팔면서 발생하는 수수료
- TER: 총 보수 + 기타 비용
- 실부담비용 = TER + 매매 중개 수수료율
연금저축계좌를 활용하여 ETF투자로 분배금을 받을 것부터 차근차근 시작해 보면 언젠간 월 100만 원 배당금 받는 날이 올 거라 생각합니다. 그때까지 꾸준히 지치지 말고 경제공부 함께 합시다!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