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킹통장 VS CMA 통장

by 머니타임스택 2025. 7. 3.

파킹통장

종잣돈마련을 위한 통장 쪼개기의 연장선인 파킹통장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파킹통장과 비슷한 상품의 CMA도 함께 비교합니다.

 

파킹통장이란 무엇일까요?

 

파킹통장이란?

파킹통장잠시 자금을 세워주는 자유입출금통장을 말합니다.

짧은 기간 동안 자금을 예치해도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해 줍니다.

 

출처: 네이버

 

파킹통장은 잠시 넣어놓을 여윳돈을 넣어두고 매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그렇지만, 표시된 금리가 고정금리가 아닌 금액에 따라 변동금리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참고하여 포트폴리오를 짜야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파킹(Parking) 통장인 토스뱅크는 연 1.20%입니다.

케이뱅크 플러스박스 연 2.0%,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연 1.8%입니다.

 

특판을 이용하면 연 3.0% 이상 가능하지만 첫 거래 조건등이 있고 200만 원 ~ 1,000만 원 이내 소액만 적용되는 조건이 붙습니다.

 

파킹통장 예치 시 주의사항

핫한 금융상품인 파킹통장 상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파킹통장의 장점인 예/적금의 낮은 금리 대비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예치 시 몇 가지 주의할 사항이 있습니다.

  • 변동금리: 예치 금액에 따른 차등 금리가 지급되고 기본금리도 언제든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최종 잔액을 기준으로 이자가 산정됩니다. 당일 최종 잔액에 대한 이자가 산정되기 때문에 이점 참고하셔서 운영하시길 바랍니다.

 

파킹통장 VS CMA

파킹통장은 위에 설명해 놓았으니, CMA에 대해서도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CMA통장이란?

CMA는 Cash Management Acount로 증권사가 제공하는 종합자산관리계좌를 말합니다.

단자회사가 투자자로부터 예탁금을 받아 수익성이 좋은 기업 어음인 CP할인 어음이나 단기국공채, 양도성예금증서 등의 금융상품으로 운용하고 관리하여 발생하는 수익금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종합자산관리계좌입니다.

쉽게 말해 주식이나 채권을 거래하기 위해 증권사에 만든 자유입출금통장이 CMA통장입니다.

 

< 파킹통장 VS CMA >

  파킹통장 CMA
운영 주체 은행, 저축은행, 핀테크 증권사
상품상세 고금리 입출금 통장 단기 투자형 예치계좌
예금자 보호 대부분 적용
(5천만원 한도)
대부분 적용되지 않음
이자 지급 방식 보통 매일 지급
금리 금액에 따라 1~4% 차등 약 2.5%
입출금 가능 자유 입출금

 

가장 큰 차이점입금액에 따라 금리가 다르게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파킹통장은 최고 7~4%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이지만, 실직적인 입금 금액에 따라 금리가 차등 적용되기 때문에 실 금리는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모니모 KB 매일 이자통장의 경우,

기본 금리 연 0.1%
최고 우대 금리 최초 가입자 한정 최고 3.9%
(200만원 이하)
특별우대금리 연 3.5%는 최초 가입 후 1년만 적용되며,
이후부터는 1.5%로 낮아짐
자동이체 등록시  연 0.3% 추가 우대
마케팅 동의시 연 0.1% 추가 우대

 

3.9%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이라고 보이지만,

200만 원 한정에 한해 3.9%가 적용되기 때문에 이자는 세전 연 190,000원 정도입니다.

 

대부분의 파킹통장 금리적용은 변동이 있기 때문에 적용 금리를 정확히 계산 후 쪼개서 관리해야 합니다.

이 부분이 힘드신 분들은 오히려 확정 금리적용인 CMA를 사용하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CMA 통장

CMA상품은 RP형, 발행어음형, MMF형, MMW형, 종금형으로 크게 나뉩니다.

 

RP형은 환매조건부채권(Repurchase Agreement)으로, 채권을 일정기간 후에 재매수하는 조건으로 약정수익률을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CMA계좌에 입금된 돈으로 환매 조건부 채권에 투자 후 그 수익금을 이자로 지급하는 형식으로 국공채와 같이 우량 채권에 주로 투자되기 때문에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아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발행어음 CMA는 예치된 예수금을 일정한 시간에 발행 어음으로 자동매수매도하는 상품입니다.

 

이 중에서 RP형 상품이 가장 인기 있습니다.

다만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아 거의 발생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증권사가 없어지면 CMA통장의 돈도 없어질 수도 있으니 탄탄한 증권사를 선택해야 됩니다.

 

RP형 발행어음형
채권을 일정기간 후에 재매수하는 조건으로 약정수익률을 지급 예치된 예수금을 일정한 시간에 발행 어음으로 자동매수매도

 

 

< 미래에셋 CMA >

 

*1천만 원 내 2.5% 금리 / 1천만 원 이상 1.95%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는 CMA는 조금 불안하지 않나요?

다행히도 CMA의 장점은 투자신탁회사의 수익증권과 다르게 최저 예탁한도, 통장식 거래, 자유로운 입출금 그리고 단자 회사가 책임지고 운영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 CMA통장의 장단점 >

장점 - 높은 금리
- 매일 이자 지급 
단점 - 증권사에서 개설
- 예금자보호가 안됨

* 투자용 계좌처럼 보이지만, 여윳돈을 잠깐 보관하면서 비교적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네이버 미래에셋 CMA 통장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네이버 미래에셋 CMA통장

 

1. 금리 연 2.5%(세전)

- 1,000만 원 이하: 2.5%

- 1,000만 원 초과: 1.95%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네이버 CMA 통장에 넣어두면, 세전 일 평균 약 690원 정도의 이자가 붙습니다.

 

 

출처: 네이버

 

2. CMA통장으로 네이버페이 머니 충전 후 결제 시 최대 3% 포인트 적립 /

전국 편의점, 이디야 커피 네이버페이 현장 결제 시 랜덤 포인트 2배 적립 

 

 

*투자선택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